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

화훼 디자인 종류와 역사 *실내 정원을 위한 디자인 과정 주제의 결정(디자인 목적 설정)-공간의 특성 조사분석(의뢰인 요구사항,식물환경분석,이용자 특성 조사분석)-기본구상-기본계획-도면 및 서류작성-재료구입-시공-검토 *리스 고대 이집트 시대에 장식물로 사용하기 시작, 그리스 시대에 축제 때 화훼 장식의 주요 형태이다. 그리스시대에는 충성과 헌신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 목적 맞는 소재를 선택해서 디자인한다. 아기의 탄생 시 여자는 리본 남자는 올리브잎을 사용해서 묶는다. *갈란다 리스와 마찬가지로 고대 이집트 시대에 장식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목적 따라 소재를 선택한다. 꽃불은 원하는 길이의 약 1.5-2배를 준비한다. (곡선으로 늘어지는 것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폭은 최소 5cm이고 재료의 무게를 생각하여 강하고 질긴 끈을.. 2022. 10. 8.
절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온도 주간의 고온은 광합성을 촉진하고 야간의 저온은 호흡작용을 억제한다. 낮과 밤의 온도 차이는 5~8도 차이가 좋다. 온도측정 기능은 식물의 높이와 같아 설치해야 한다. 높은 온도에서는 꽃봉오리가 빨리 발달하고 노화가 촉진되어 관상가티를 상실한다. 저온에서는 동해나 냉해 피해를 볼 수 있다. 온도센서는 냉난방기 가까이 두지 않고 냉난방 공기가 직접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출입문 가까이에 두지 않는다. 여러 곳에 두어 평균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광 대부분의 식물은 일정 광도까지는 빛이 밝을수록 광합성량이 많다. 그러나 그 증가는 지속되지 않는다. 빛이 없으면 식물은 생육할 수 없고 호흡에 의한 영양분의 소모만 일어나므로 생장이 일어나지 않는다. 광도가 지나쳐도 정상 생육하지 않는다. 광포화점:식물의 .. 2022. 10. 8.
절화의 외적 품질과 보존방법 *절화의 외적 품질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을 만들어 그에 따라 평가한다. 꽃 균형이 맞아야 한다. 꽃은 모양 및 오염 등을 본다. 그중에서도 품종이 지니는 고유의 특성으로 가장 잘 나타내야 한다. 줄기는 굵기 중요하며 너무 굵거나 가늘지 않고 바르고 강하여 휘어지지 않아야 한다. 잎은 깨끗하고 품종 고유의 녹색을 유지해야 하며 잎의 황화, 하엽의 고사, 병충해, 농약 잔재, 먼지 등 오염이 없어야 한다. *절화의 내적 품질 시각적 판단이 어렵다. 절화의 수명이 가장 중요하다. *절화 보존제의 종류 1. 당:에너지원(탄수화물 공급원), 기공을 다치게 하여 증산억제, 생체중과 건물 중 증가를 돕는다. 수분균형을 개선하고 화색을 유지해주며 흡수를 촉진한다. 2. 살균제:절.. 2022. 10. 8.
식물의 휴면 타파의 종류 *외적인 요인에 의한 휴면타파 아브시스산 외에 쿠마린,크산톡신과 같은물질도 발아억제 물질로 알려져있고 이에 대항하여 시토키닌류가 휴면타파를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져있다. 종자의 휴면타파를 위해 저온처리를 하게되는데 저온처리 과정에서 아브시스산이 서서히 감소하고 발아촉진물질인 지베렐린 또는 시토키닌이 증가하여 발아된다. 휴면타파 과정에서 온도에 의해서만 타파되는 것이 아니라 생장억제물질과 촉진물질간에 대항적 화학작용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화학적 춘화 라고 한다. *종피에 의한 휴면타파 경실종자로 종피가 두껍거나 단단하여 수분이나 산도의 투과가 어려워 발아하지 못하는 것으로, 종피에 상처를 내거나 묽은 황산에 담가두면 연화되어 휴면이 타파된다. 종피에 의한 휴면타파를 하는 식물로는 라일락,장미,산수유 등이 있다.. 2022. 10. 8.
식물의 생식 생장 및 재배 방법 *식물의 생식생장 꽃 등의 생식기관 성장을 말한다. C가 많고 N이 약간 적은 것이 성숙의 중요한 요건이다. C/N들이 높으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의 이동이 쉽고 개화도 빨리 된다. 질소 과다에서는 영양생장이 촉진되고 개화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DIF(Different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식물생육 관리온도 중 밤낮의 온도 차이를 다르게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밤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호흡속도가 빨라져 탄수화물의 소모가 심해져 생장이 지연된다. 따라서 온도를 낮에는 다소 높게, 밤에는 다소 낮게 관리하면 동화물질의 축적이 많아지기 때문에 생육을 좋게 하고 개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DIF=DT-NT DT가 NT보다 높으면 식물의 초.. 2022. 10. 8.
식물의 원예학적 분류 및 절화의 형태적 특성 *식물의 원예학적 분류 -생육 습성, 번식, 취급 방법이 비슷한 것끼리의 그룹 @1 : 식물의 생육 환이 1년 또는 2년 이내의 초본식물 -춘파일년초(봄에 뿌리면 그해에 꽃피고 열매 맺는 식물) : 코스모스, 해바라기, 샐비어, 과꽃, 채송화, 마리골드 -추파일년초(가을에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꽃이 피는 식물) : 피튜니아, 금잔화, 데이지, 프리뮬러, 팬지 -이년 초(봄에 파종하면 이듬해에 꽃 피는 식물) : 꽃양배추, 스톡, 디기탈리스, 패랭이꽃 @수근류 (뿌리가 지하에 살아남아 일생을 반복하는 식물) : 국화, 거베라, 카네이션, 제라늄, 작약 @구근류 (숙근 부류의 일부이며 잎, 뿌리, 줄기가 비대하여 양분 저장기관을 가지는 식물) -인경(비늘줄기) : 잎이 비대하다. 유피인경 : 알리 움, 아이.. 2022. 10. 7.